잡학다식

📦 [무역상식] 인코텀즈 DAP 조건 완벽 정리! 💡 DDP와의 차이점까지 한눈에 👀

talk-7398 2025. 5. 2. 14:08

안녕하세요~ 🙋‍♀️ 무역/수출입 실무자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인코텀즈!
오늘은 그중에서도 실무에서 자주 등장하는 DAP 조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,
많이들 헷갈려하는 DDP 조건과의 차이점도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! 😎


📘 인코텀즈(Incoterms)란? 🤔

인코텀즈는 국제상업회의소(ICC)가 제정한 국제 무역 거래 조건 표준 규칙입니다! 🌍

✅ 누가 언제까지 운송비용,
✅ 누가 어디까지 위험부담,
✅ 누가 무엇을 통관할 것인지!

❗ 이런 복잡한 부분들을 명확하게 정리해주는 규칙이 바로 인코텀즈예요 💼


🚚 DAP(Delivered At Place) 조건이란? ✈️

💬 "도착지 인도 조건"
즉, 판매자가 지정된 목적지까지 운송은 다 해주고,
그 이후 수입통관과 세금은 구매자가 처리하는 조건입니다!

✅ DAP 핵심 요약표 📌

구분판매자 책임 💼구매자 책임 🛒
📦 포장 및 출하
🛳️ 수출 통관
🌍 국제 운송
🏢 도착지 인도
🧾 수입 통관
💰 관세 및 세금
 

✔️ 판매자는 도착지까지 안전하게 운송만!
❌ 수입통관과 세금은 바이어가 직접!


🧑‍🏫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🎯

🇰🇷 한국 기계제조업체 A → 🇫🇷 프랑스 바이어 B
인코텀즈 조건: DAP – 파리 물류창고

1️⃣ A는 기계를 포장하고, 한국에서 프랑스 파리까지의 운송을 모두 부담
2️⃣ 파리 물류창고까지 도착하면 A의 책임은 끝!
3️⃣ B는 프랑스에서 직접 수입 신고 및 세금 납부 후 물품 인수

📌 바이어가 수입통관만 하면 되니 상대적으로 간단한 조건이에요!


🆚 DAP vs DDP 차이점 총정리! ⚖️

항목💼 DAP💰 DDP
🚛 운송 판매자 부담 판매자 부담
📑 수출 통관 판매자 판매자
🧾 수입 통관 구매자 판매자
💸 수입 세금 구매자 판매자
📍 인도 완료 시점 도착지에서 도착지 + 통관 완료
💡 부담 범위 운송 + 수출통관 운송 + 전 통관 + 세금 전부!
 

🤔 왜 DDP보다 DAP가 더 많이 쓰일까?

  • ✅ DDP는 판매자가 수입국의 세법·통관 절차까지 모두 알아야 함
  • ❌ 실무적으로 리스크 크고, 복잡
  • ✅ 반면 DAP는 운송만 책임지면 되니 실행이 쉬움

📝 마무리 정리 ✍️

🌟 DAP는
👉 판매자가 운송까지,
👉 구매자가 통관과 세금을 책임지는 조건입니다!

🚫 DDP는 판매자가 모든 걸 처리해야 해서
실무에서 꺼리는 경우도 많아요.
✅ 그래서 DAP는 실제 무역 현장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조건이랍니다!


📌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❤️과 댓글 💬 부탁드려요~
궁금한 무역 용어나 인코텀즈 관련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! 😊